교회에서의 평화교육 / / 2015. 11. 18. 23:18

‘평화로운 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회 교육에서의 회복적 생활교육(Restorative Discipline)’

교회의 날 10주년 기념행사 

"좋은 교회 강습회" 인권아 놀자 선택 강의 자료집 작성 내용 중

2015년 10월 24일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제자였던 로버트 호마(Robert Homa)의 연구에 따르면,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에 가입한 많은 국가들은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사법시스템이 강화되고 있는 점을 문제로 지적한 바 있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범인들을 검거 할 수 있는 경찰의 수와 범죄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여유가 생겨나기 때문에 사법 시스템은 자연스럽게 강화된다고 했다. 어느 부족, 공동체, 사회, 국가든 갈등은 가지고 있지만, 사법 시스템적으로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지적이었다. 이는 사회에서 범죄, 갈등을 배제, 처벌, 격리하는 방식으로 처리해도 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그 사회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재범률은 69.5%[각주:1]에 이르며, 사법시스템은 사회 폭력을 더 강화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합법적인 처벌이 사회 질서와 정의를 유지시켜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학교 교육에서도 누군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벌을 주는 생활 지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학교 폭력은 점차 증가하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하였다. 학생들은 실수 속에서 배우며 성장하는데, 처벌의 방식은 학생들에게 성장할 기회 조차 제공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사법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대상이 되는 학생이나 문제의 원인을 배제, 처벌, 격리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는 것이다.


기존의 처벌 방식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다른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갈등을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공동체가 단절되지 않고 성장과 회복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있다. 회복적 생활교육은 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갈등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회복적 생활 교육은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를 바탕으로 발전되었다. 회복적 정의는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응보적 정의와 구별되는 것으로, 공동체의 갈등을 모두 구성원이 함께 회복할 때 정의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회복적 생활교육은 비난, 강체, 처벌, 배제의 방식이 아닌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것으로, 화해와 조정을 통한 갈등 전환(Conflict Transformation)의 방식인 것이다.


회복적 정의는 국제 사회에서 기독교 평화 전통에서 사법갱신운동으로 시작되어, 국내에서는 1990년이후 사법 체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회복적 생활교육은 2000년대 회복적 정의의 인식 전환 운동이 확산되어 학교 교육에 이르게 되었다. 2014년에 경기도 교육청은 경기도 내의 학교 지도 방식으로 회복적 생활 교육으로 진행하고 있고, 2015년에는 서울시 교육청에서도 회복적 생활교육의 선도학교 두 곳을 선정하여 평화로운 학교 공동체 구축에 힘쓰고 있다.


우리 교회의 학생 중 일부는 학교 교육에서 이미 회복적 생활 교육을 경험하고 있다. 기독교 평화 전통에서 시작 된 회복적 정의는 교회 교육에 조망받지 못하며, 우리는 아직도 학생들에게 교회 교육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접근 하고 있다. 회복적 생활교육은 아래의 그림에서와 보는 바와 같은 핵심가치를 두고 있다. 같이 신뢰, 상호 존중, 관용의 분위기를 바탕에 두어, 공동체 내에서 존중하도록 한다. 갈등이나 문제를 전환하는 것은 대화로 접근한다. 그리하여 상호간에 충분한 이해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다양한 회복적인 방식으로 진행된다. 


교회 내에서 학생들은 일주일에 한 번씩 예배와 공과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참여하고 있다. 이에 회복적 생활교육의 핵심가치를 적용한 교육이 진행된다면, 성서에서 우리가 가르치고 싶은 평화 영성이 우리 교회 교육 현장에 서 저절로 일어날 것이다. 학생들은 성서나 교재의 말이나 글이 아닌 교육의 현장에서 평화를 실질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국내에 평화감수성의 다양한 모델이 소개되어 있다. 회복적 생활교육에서는 갈등을 다루는 것보다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프로그램을 강화시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평화로운 공동체가 구축되면 설령 갈등이 일어나더라도 공동체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힘이 그 안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동체 구성원의 필요와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은 예배나 공과공부(소그룹)에서 서클로 앉아 서 교사가 가르치는 입장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배울 수 있는 배움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교회 여건상 다양한 모델을 접하기 어렵다면, 고대 원주민의 방식에서 전해온 토킹스틱(talking stick)이나 토킹피스(taking piece)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싶다. 이는 누군가의 말이나 의견을 끝까지 들을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도구가 된다. 아무 것도 가르치거나 지시하지 않아도 변화되는 자연처럼 학생들은 자발성에 의해 서로가 서로에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낼 것이다. 원주민들이 토킹스틱을 통해 지키려고 했던 것은 서로가 서로를 향해 존중하고 경청하고 있던 상징물이었음을 평화 교육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다.


한국 사회 내에서 교회의 부정적 이미지는 여러 가지 비리와 더불어 강화되고 있다. 우리 학생들이 교회 교육내에서 회복적 생활교육을 통해 평화를 경험한다면 우리 사회는 어떻게 될까? 서로가 서로를 향해 살아있는 평화로운 공동체가 될 수 있기를 고민하면서 교회 교육에서의 평화교육을 짧게나마 고민해 보았다. 학교 교육 현장에 가까 이 있으면서 기독교교육을 전공한 입장으로 교회 교육의 답답한 현실을 접하면서 우리 교회 교육에서 회복이 일어나기를 꿈꿔본다. 







  1. 2014년 검찰청 살인 재범죄율 통계자료 [본문으로]

'교회에서의 평화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앤조이 기고  (0) 2020.05.08
뉴스앤조이 인터뷰)  (0) 2020.02.01
서클예배  (0) 2017.08.09
평화교육의 가능성에 발표내용- 신문기사  (0) 2016.03.30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